이혜미 기자
[한국뷰티건강산업신문 이혜미 기자]
"자외선 차단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방식이 되었다."
폭염이 평년보다 일찍 찾아오고, 자외선 지수가 연일 '매우 높음'을 기록하면서, 선케어 제품은 더 이상 '미용용 화장품'의 영역에 머물지 않는다. 피부암 예방과 피부노화 방지, 그리고 일상 건강관리의 기본으로서, 자외선 차단제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K-뷰티 업계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술 혁신에 나서며, 기능성과 안전성을 겸비한 선케어 제품을 앞다투어 선보이고 있다.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필터와 무기 필터로 나뉜다. 유기 필터는 자외선을 화학적으로 흡수하여 열로 전환시키는 방식이고, 무기 필터는 자외선을 피부 표면에서 반사하거나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두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뚜렷했지만, 최근에는 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콜마코스메틱의 자회사 Kolmar Korea가 개발한 'UV-DUO PLUS'는 그 대표적 사례다. 이 기술은 유기와 무기 필터를 특수 코팅 기술로 안정화시켜 UVA 차단 효율을 24.8% 향상시키고, SPF 50+와 PA++++ 등급을 확보했다. 특히 이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기능성 화장품 인증을 받은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외선 차단제로,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 MFDS는 자외선 차단, 미백, 주름 개선 등 세 가지 항목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술의 공신력을 높이는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선케어 기술에 미백, 항산화, 보습 기능 등을 결합해 다기능 제품으로 진화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특히 사용감과 지속력을 동시에 고려한 제형 기술의 발전은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다. 한편, 국내 뷰티업계도 이 기술을 미국 FDA OTC 등록과 유럽 CPNP 등록 등 글로벌 인증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에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기술 중심의 R&D는 대전·오송 등 바이오 클러스터 중심지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과학 기반의 효능 입증과 자외선 차단 성분의 안정화, 사용감 개선 등을 목표로 다양한 원천 기술이 개발되며, 선케어는 점점 더 고도화된 기능성 화장품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제 선케어는 단순한 자외선 차단제를 넘어, 기술과 과학이 녹아든 피부 보호 솔루션으로 재정의되고 있다
AI 생성 이미지(특정 제품과 관계 없음)